NYC, 2035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한 20가지 사실
유튜브(영어: YouTube)는 2005년 서비스를 시작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다.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브루노에 위치해 있다. 2005년 스티브 천, 채드 헐리, 자베드 카림 세 명의 공동창업자가 회사를 창업하였고, 2006년에 구글이 인수받아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동영상 공유 및 호스팅 사이트로서, 이용자가 영상을 시청 · 업로드 · 공유할 수 있다.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유튜브의 역사입니다.
유튜브 공동 창업자인 자베드 카림은 니플게이트 사건으로 인해 동영상 공유 웹사이트의 창설을 이끌었고 2005년 2월에 페이팔 직원이었던 채드 헐리, 스티브 천과 함께 공동으로 창립했으며, 2005년 4월 23일에 최초 영상(Me at the zoo)이 업로드 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고, 2006년 10월 16억 5천만 달러의 가격으로 구글에 인수되었다.[1] 유튜브의 콘텐츠는 개인이 제작한 비디오 영상을 비롯한 영화와 텔레비전 클립, 뮤직 비디오 등이 올라온다.
구글은 2006년 10월 9일 주식 교환을 통해 16억 5천만 달러에 유튜브를 인수하기로 발표했다.[1] 이후 2007년 6월 20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구글 프레스데이 2007’ 행사에서 국가별 현지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고,[2] 먼저 네덜란드, 브라질, 프랑스, 폴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스페인, 영국 등 총 9개 국가에서 사용자를 위한 페이지를 공개했다.
한국어 서비스는 2008년 1월 23일에 시작했다.[3]
캘리포니아 샌브루노에 있는 유튜브 본사
구글 인수 4년 차인 2009년 약 4억7천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듬해인 2010년부터 흑자로 돌아섰고, 이용자가 갈수록 더 불어나는 ‘스노우볼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4]
현재 유튜브는 31개국이 넘는 장소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기술 사항
영상 포맷
유튜브의 영상 재생 기술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와 H.264 영상 코덱을 기반으로 하나, 최근 HTML5 플레이어와 WebM 코덱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이나 코덱을 일일이 내려 받아 설치해야 했던 이전의 영상 재생 기술(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퀵타임, 리얼플레이어 등)과 견주어 보아도 영상 재생 품질이 그렇게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 동영상은 gnash 또는 VLC 미디어 플레이어 등에서도 재생할 수 있다. 화소 크기는 320x240이며, 1초에 25 프레임으로 재생된다. 최대 데이터 레이트는 초당 300kbit이다.
유튜브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을 플래시 동영상(.FLV, 어도비 플래시 동영상) 형식으로 변환한다.[5] 파일로부터 확장자가 제거된다. (확장자는 TrID 등을 이용하여 다시 볼 수 있다.) 이 파일들은 복잡한 이름을 가진 서브도메인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영상을 리핑하기가 쉽지 않다.
유튜브는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WMV),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VI), MPEG, MPEG-4 파트 14(.MP4) 포맷들을 업로드할 수 있다.[6]
동영상은 창 모드 또는 전체 화면 모드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 볼 수 있다.(2015년부터는 영화관 모드도 사용할 수 있다.) 영상을 다시 불러오지 않고도 두 개의 방식을 바꾸어가며 쓸 수 있다.

채널에 대해서는 유튜브 (채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YouTube
2024년부터 현재까지의 유튜브 로고.
유튜브 홈페이지 스크린샷(2017년)
회원 가입선택
사용 언어55개 언어(한국어 포함)
소유자구글
시작일2005년 2월 14일(20년 전)
수익미확인
웹사이트www.youtube.com
현재 상태운영 중